<클라우드 AWS 자격증으로 시작하기> 책을 읽고 직접 정리한 글입니다.
클라우드 컴퓨팅이란?
- 컴퓨터를 구매하고, 컴퓨터에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과정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
- 오직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호출하여 즉시 필요한 자원(서버, 네트워크, 스토리지, 소프트웨어 등)을 사용할 수 있는 것
*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: Amazon AWS, Microsoft Azure, Google Cloud Platform
On demand 서비스와 SLA
On demand(주문형 서비스):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용자가 요청한 만큼 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용을 청구하는 모델
- 예를 들어 IBM의 서버를 구매하지 않고 CPU 4개에 주기억장치 8Giga byte가 필요하면 IBM에 요청하고 서버를 제공받는 것
- 이 때 IBM은 대용량 자원의 일부만 제공하기 때문에 해당 서버의 자원을 분할, 할당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. => 가상화
SLA(Service Level Agreement): On demand 서비스를 사용할 때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서비스 수준에 대한 협약서. 즉 SLA를 통해서 사용한 서비스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게 됨
가상화
가상화: 여러 개의 물리적 자원을 하나로 통합해서 관리하거나 하나의 물리적 자원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기술
* Host OS: 하드웨어 위에 설치된 운영체제
* Guest OS: 호스트 가상화 혹은 하이퍼바이저 위에 설치된 운영체제
가상화 종류
1) 호스트 가상화: Host OS에 가상머신을 설치하고 가상머신에 Guest OS 설치

장점) Host OS에 제약이 없다.
단점) Host OS 위에 다시 Guest OS를 설치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크다.
2) 하이퍼바이저: 하드웨어 위에 별도의 Host OS를 설치하지 않고 하이퍼바이저라는 가상화 소프트웨어 설치, 그리고 하이퍼바이저 위에 Guest OS를 설치하는 구조
- Type-1: 하이퍼바이저가 하드웨어에서 직접 실행되고 Guest OS는 하드웨어 위에서 두 번째 수준으로 실행되는 환경
- Type-2: 하이퍼바이저가 호스트 운영체제 환경에서 실행되고, Guest OS는 하드웨어 위에서 세 번째 수준으로 실행되는 환경

장점) Host OS가 없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적다.
단점) 자체적으로 머신에 대한 관리 기능이 없기 때문에 관리를 위한 컴퓨터 혹은 콘솔이 필요하다.
3) 컨테이너 가상화: Host OS 위에 컨테이너를 설치하고 각각의 컨테이너 별로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방식

장점) 오버헤드가 적고 속도가 빠르다.
단점) 만약 Docker를 사용한다면 리눅스 기반의 운영체제를 사용해야 한다.
'Cloud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AWS] AWS SAA 개념 정리 (2)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 (0) | 2025.09.10 |
|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