접근제한자 (2) 썸네일형 리스트형 [Kotlin] 스코프와 접근제한자 스코프 : 변수나 함수, 클래스 같은 멤버들을 서로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범위를 지정해 둔 단위 스코프가 지정되는 범위 - 패키지 내부, 클래스 내부, 함수 내부 등 하나의 패키지 안에 변수, 함수, 클래스가 있는데 함수, 클래스에 또 다른 변수, 함수가 있다면 패키지 스코프 안의 또 다른 하위 스코프로 동작하게 된다. 스코프의 세 가지 규칙 1. 스코프 외부에서는 스코프 내부의 멤버를 참조연산자로만 참조 가능하다. com.google.dimo.A → com.google.dimo 안에 있는 A라는 이름의 멤버 참조 2. 동일 스코프 내에서는 멤버들을 공유할 수도 있다. val a = "패키지 스코프" class B{ fun print(){ println(a) } } fun main(){ println.. [Typescript] 클래스(Class) ↓ 클래스에 대한 개념이 없다면 참고 https://winterflower.tistory.com/178 타입스크립트에서 클래스를 작성할 때는 멤버 변수를 미리 선언해주어야 한다. class car{ color: string; constructor(color: string){ this.color = color; } start(){ console.log("start"); } } const bmw = new Car("red"); 멤버 변수를 미리 선언하지 않는 방법도 있다. 접근 제한자나 readonly 키워드를 이용하면 된다. class car{ constructor(public color: string){ this.color = color; } start(){ console.log("start"); } }.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