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 (370) 썸네일형 리스트형 [CSS] 박스 모델 구성 속성 - padding, border, margin CSS의 박스 모델 각 HTML 태그 요소를 하나의 박스로 다룬다. 예) DIVDIVDIV → div 영역의 박스 구성이 보이지 않지만, 사실 박스로 구성되어 있음 박스 모델을 구성하는 프로퍼티 박스 모델의 색, 테두리, 단축프로퍼티 border : 3px dotted blue; * 테두리 종류 둥근 모서리 테두리 만들기 : border-radius 배경 다루기 background-color background-image background-position background-position : center center; /* 박스 중간에 이미지 출력 */ background-repeat background-repeat : repeat-y; /* 위에서 아래로 이미지 반복 출력 */ [CSS] 텍스트 꾸미기 속성, 폰트 제어 속성 텍스트 꾸미기 속성 들여쓰기 (text-indent) text-indent : | ; 정렬 (text-align) text-align : left | right | center | justify; 텍스트 꾸미기 (text-decoration) text-decoration : none | underline | overline | line-through; ex) text-decoration 프로퍼티로 하이퍼링크에 밑줄 제거 네이버 ex) 3글자 들여쓰기 text-indent : 3em; 폰트 제어 속성 폰트 종류 (font-family) font-family : Arial, "Times New Roman", Serif; 폰트 이름에 공백이 낀 경우 " "로 묶어야 함 Arial 폰트가 없는 경우 "Times.. [CSS] 선택자(selector) 정리 선택자란? 어떤 요소에 스타일을 정의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 기본 선택자 1. 전체 선택자 : 모든 요소 선택한다. *(애스터리스크)는 '문서 내의 모든 요소'를 의미하는 기호이다. * { color:blue; } → 문서 내 모든 요소의 글자 색을 파란색으로 정한다! 2. 태그 선택자 (유형 선택자) : 주어진 이름을 가진 요소를 선택한다. 주어진 이름을 가진 요소가 다수일 경우, 해당 요소들을 모두 선택한다. p { color:blue; } → 문서 내 모든 p태그 요소의 글자 색을 파란색으로 정한다! 3. 클래스 선택자 : 주어진 class 속성값을 가진 요소를 선택한다. 주어진 class 속성값을 가진 요소가 다수일 경우, 해당 요소를 모두 선택한다. .text { color:blue; } → 문서.. [HTML] 자주 쓰이는 태그 정리 텍스트 태그 - 문단 - 제목 , , ... , - 숫자 1일 때 가장 크고 6일 때 가장 작다. - 수평선 - 줄바꿈 텍스트 꾸미기 진하게 중요한 강조 이탤릭으로 강조 진하게 이탤릭으로 강조 삭제 추가 보통문자의 윗첨자 보통문자의 아래첨자 하이라이팅 태그의 구분 - 블록 레벨 요소: 자신이 속한 영역의 너비를 모두 차지하여 블록을 형성한다. - , , , ... - 인라인 요소: 자기가 필요한 만큼의 공간만 차지한다. - , , , ... 이미지 표시하기 - 단일 태그 - alt는 alternative의 약자로 대체 텍스트 역할을 한다. 이미지가 로딩되기 전이나 이미지 로딩에 실패한 경우 이미지 대신에 대체 텍스트가 표시된다. alt를 사용하면 이미지를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에게 웹페이지를 서비스해야 .. [Git & Github] 7 - 협업하기 1. 내 로컬 저장소는 변했는데 원격 저장소는 변함 없는 경우 → 그냥 Push 하면 그만 2. 내 로컬 저장소는 변함 없는데 원격 저장소는 변한 경우 → git pull로 동기화 후 push하기 [1] rebase [2] pull request (→ merge) 1) 협업 대상 repository fork하기 2) fork 해온 곳에서 clone 하기 3) branch를 만들고 작성하고자 하는 코드(commit) 작성 4) 코드작업을 수행한 그 branch에 push 5) pull request 날리기 6) pull request 날린 branch 지우기 + push 권한 주기 (collaborator 추가하기) → 대규모 프로젝트에 권장X ※ conflict : 자신의 로컬 저장소에서 진행한 변경 이.. [Git & Github] 6 - 로컬과 원격의 상호작용 Branch 개념을 원격저장소(Github)에 접목시켜 실질적인 협업을 이루기 - 원격저장소는 그저 또 다른 repository(저장소)일 뿐! - 협업은 repository끼리의 상호작용일 뿐! Repository끼리의 상호작용 종류 1. 원격저장소 조회(추가)하기 : git remote (-v) 내 로컬 repository와 상호작용 하고 있는(혹은 할 수 있는) 원격 저장소들의 목록 조회 * -v 옵션 : 단축이름과 URL 같이 보기 git remote add [단축이름][url] → 기존 워킹 디렉토리에 새 원격저장소(url)를 으로 추가하는 명령어 git remote rm [단축이름] → 제거 2. 원격저장소에 밀어넣기 : git push git push -u origin master → 내 r.. [Git & Github] 5 - 나누어 관리(Branch) Branch로 알아보는 git의 협업 원리 작업 단위로 나눈다 → 각자 작업한다 → 합친다 master branch : 다른 branch들이 뻗어나가는 태초의 branch - 새 branch 만들기 → git branch [브랜치 이름] - branch 목록 확인 → git branch - 다른 branch로 들어가기 → git checkout [브랜치 이름] ** git checkout -b [브랜치 이름] : 만들기 + 들어가기 어떤 branch를 어디로 합칠 것인가 ‘병합의 결과’가 되는 대상에 checkout git merge [합치려는 branch] [Git & Github] 4 - git으로 되돌리자 Working directory, Staging area, Repository에 올린 내용은 어떻게 취소할 수 있을까? → git reset 어디까지 되돌릴까? - 수정한 것까지 통째로 “쎄게 되돌리자” → 옵션 —hard HEAD^ - add한 것까지 “적당히 되돌리자” → 옵션 —mixed HEAD^ (옵션 생략할 경우) - commit한 것만 “살짝만 되돌리자” → —soft HEAD^ ※ HEAD: 가장 최근 버전에서 / ^: 하나 되돌리자 가장 최근 커밋으로부터 하나 전으로 되돌려라 git reset —hard HEAD^ 가장 최근 커밋으로부터 두 개 전으로 되돌려라 git reset —hard HEAD^^ git reset —hard HEAD^ git reset HEAD^ git reset —.. 이전 1 ··· 42 43 44 45 46 47 다음